폴란드의 자유주의에 대한 흥미로운 역사
13.12.2021
현재 우리는 구소련의 위협이 허세에 불과했음을 알고 있지만 구소련의 위협으로 1981년 12월 13일 폴란드에서는 공산주의 체제 헌법에 위배되는 계엄령이 시행되었습니다.
(사진: INM)
현재 우리는 구소련의 위협이 허세에 불과했음을 알고 있지만 구소련의 위협으로 1981년 12월 13일 폴란드에서는 공산주의 체제 헌법에 위배되는 계엄령이 시행되었습니다.
최근 역사에서 어느 국가의 어떤 집권 당국도 시민사회를 대상으로 전쟁을 선포한 경우가 없었습니다. 누군가는 공산주의가 정권이 시민사회를 대상으로 한 투쟁을 지속하는 체제라고 말할 수 있지만, 모든 경우를 불문하고 시민사회를 대상으로 한 계엄령의 선포는 1981년 12월 공산주의 체제였던 폴란드에서만 발생했습니다. 근본적인 원인은 폴란드가 구소련의 속국이었고 집권 당국이 구소련과 폴란드 모두에서 어떤 수단을 감수해서라도 공산주의 독재를 유지하기 위해 애썼기 때문입니다.
1980년 9월 독립노동조합(Solidarity)의 결성은 공산주의 체제에 대한 가장 큰 사상적, 정치적 도전이었습니다. 8월 연이은 파업을 막을 수 없었던 공산주의 정권은 노동조합을 합법화하는 데 동의했으며, 이는 단순한 노동조합의 형성을 넘어 정권에 반대하는 거대한 물결을 형성했습니다. 본 사건은 이데올로기적인 스캔들이기도 했습니다. “노동 계급”을 대신한 통치를 주장하는 국가에서 정부에 대항하는 자체적인 사회 집단이 생겨났기 때문입니다. 당권과 “독립노동조합”의 1년여 이상의 투쟁으로 1981년 후반에 이르러 조합은 힘을 잃기 시작하고 시민사회는 경제적 위기에 지치게 됩니다. 반면 구소련과 공산당은 보이치에흐 비톨트 야루젤스키 총독이 이끌던 내각에서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고군분투했고 총독은 이러한 절망적인 조치를 취하게 됩니다. 구소련의 위협 하에1981년 12월 13일 공산주의 헌법에 위배되는 계엄령이 선포됩니다. 비록 지금 우리는 구소련의 위협이 허풍에 불과함을 알고 있지만 말입니다.
체제에 대한 복종이 “시민”의 삶에 직결된 문제였던 한, 집권 당국은 수년간 유효한 정권으로 남아 있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복종”을 실행하는 “문명화된” 방법이 실패한 이상, 정권의 유효성은 새로운 차원에 접어들게 됩니다. 1944년 이후 창설된 “인민”을 위한 폴란드 군대는 혼성 편성되어 있었습니다. 세계2차대전 이전의 장교들은 전후 제거되었고 구소련 인력으로 대체되거나 후반에는 철저한 계산으로 선정된 완벽한 친러시아 성향의 폴란드 인력으로 바뀌었습니다. 구소련 사관학교 졸업장은 지휘계통에 오르기 위한 인증된 경력 경로였습니다.
군대 장교들은 구소련의 “국제주의” 정신과 폴란드를 구소련에 종속시켜야 할 역사적 필요성의 맥락에서 교육을 받은 반면, 수백만 명의 젊은 폴란드 군인들은 다소 엇갈린 감정을 갖고 2년 동안의 의무 병역을 마쳤습니다. 공산주의와 구소련에 대한 분노, 강요와 정치적 세뇌에 대한 굴욕이 혼재된 것이었지만 점차 체념과 적응도 늘어났습니다. 1960년대에 이미 트루바두지 프시예치가 부른 곡 mamo, na przysięgę(맹세하소서)은 어떤 부정적인 반향도 일으키지 않았고 가족들과 함께 “사회주의 조국”에 충성을 맹세하고 축하하는 행동은 자연스러운 것으로 인식되었습니다. 그러한 강요의 합리화는 점점 더 널리 퍼지게 됩니다.
계엄령의 실시로 군의 충성심 문제가 도마에 올랐습니다. 자국민을 향한 무력 사용에 대한 수치스러운 결정이었고 군 규율은 군인들이 구소련의 이익에 따라 행동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한편 양심은 의구심, 심지어 반감과 같은 다양한 반응을 야기했습니다. 그러한 다양성은 군에서의 위치에 다소 비례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지휘계통의 상부는 의구심이 적었던 반면, 사병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최고 사령부는 구소련에 복종하는 예니체리의 정신을 갖도록 교육받았지만, 신병은 이제 경찰과 비밀군을 지원하기 시작한 “독립노동조합” 활동가의 편에 있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러므로 계엄령을 선포하기로 한 수치스러운 결정은 수십만 명의 젊은 폴란드인이 국가에 대한 배신과 영웅주의 사이에서 비극적인 선택을 해야하는 강압적인 상황을 야기했습니다.
폴란드 사회는 이러한 경험에서 살아남았지만, 부수적인 피해가 수반되지 않았던 것은 아닙니다. 절망적인 상황을 감안할 때 사회적 저항은 강했습니다. 하지만 더 큰 재앙을 야기할 정도로 강하진 않았습니다. 공산주의 체제의 평화로운 붕괴로 1981년 12월의 범죄를 궁극적으로 평가하고 처벌하지 않는다는 설득력 있는 주장에 힘이 실렸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야루젤스키 총독은 1989년 7월 폴란드의 대통령으로 선출됩니다. 계엄령에 대한 공식적 비난과는 별개로 폴란드 제3공화국은 사실상 도덕적으로나 법적으로 계엄령에 관여한 장교들이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도록 조처할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그것이 가능한지 여부에도 불구하고 해당 행동을 평가하는 기준을 명확히 설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독립된 폴란드에서 국가의 안보와 성공에 도움이 되는 행동과 그렇지 않은 행동을 구분하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어야 합니다.
국립추모연구소(Institute of National Remembrance)의 역사교육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월간 Wszystko Co Najważniejsze지에 게시된 글
보이치에흐 로수코브스키(Wojciech Roszkowski) - 20~21세기 유럽 역사를 전문으로 하는 폴란드의 경제 역사학자 및 작가로, 정계에 진출하여2004~2009년 유럽 의회(MEP)의 구성원으로 활약했습니다. 1980~1983년까지 독립적인 자치노동조합인 Solidarność 구성원으로 활동했습니다.